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CARTO - Unlock the power of spatial analysis 더보기
LX 디지털트윈이 가져다 주는 스마트시티 (요약보고서) 더보기
Git 원격 저장소 변경 아래와 같은 순서로 원격 저장소를 변경할 수 있다. 먼저 백업을 받아 놓는건 잊지 말자.현재 원격 저장소 제거 -> 신규 원격 저장소 추가 -> 변경확인 -> 모든 브랜치/태그 푸쉬의 순서이다.git remote remove origin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계정명}/{레포지토리명}.gitgit remote -vgit push --all origingit push --tags origin 더보기
LLM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 파이프라인: 의도 분류용 프롬프트 의도를 분류하기 위한 순차적으로 구조 설계를 한다. LLM이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프롬프트를 작성한다. 프롬프트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시스템 역할 정의 → 컨텍스트 제공 → 작업 명세 → 출력 형식 → 예시문 → 제약사항 의도 분류용 프롬프트당신은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의도를 분석하는 전문가입니다.## 컨텍스트- 사용자 위치: {user_location}- 현재 시간: {current_time}- 이전 검색 이력: {recent_searches}## 작업사용자 입력에서 다음 의도를 분류하세요:- ROUTING: 경로 찾기, 길안내 요청- SEARCH: 특정 장소나 시설 검색- ANALYSIS: 지역 분석, 통계 정보 요청- RECOMMENDATION: 추천 요청## .. 더보기
LLM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 파이프라인: 시나리오1 LLM 활용 일반 시나리오사용자 입력 전처리입력 정규화입력: "강남역에서 홍대까지 지하철로 가는법좀"정규화: "강남역에서 홍대까지 지하철로 가는 방법"다국어 지원 및 방언의 처리한국어 : 근처, 주변, 가까운 곳영어 : nearby around, close to음성 입력 오류 보정의도 분석 (Intent Classification)주요 의도 카테고리{ "ROUTING": ["길찾기", "경로", "가는법", "route", "direction"], "SEARCH": ["찾기", "검색", "어디", "find", "search", "locate"], "ANALYSIS": ["분석", "통계", "변화", "비교", "analyze", "compare"], "RECOMMENDATION": ["추천".. 더보기
최초 선택과 옵션 보정으로 LLM 결과 정확도 높이기 문제 상황LLM을 활용해 기능을 실행하는 도구를 설계할 때 처음부터 복잡한 선택지를 주는것 보다 기본 동작을 단순하게 고르고, 이후 옵션을 보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Accuracy를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예를 들어 LLM이 커피 주문을 처리한다고 하자.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아메리카노 큰거 한잔 줘""라떼 하나, 아이스로""디카페인 아메리카노 따듯한걸로"orderCoffee('아메리카노', '뜨거운', '디카페인', '라지')만약 이런 주문을 처음부터 LLM이 모든 옵션을 포함한 함수를 호출해야 한다면 옵션이 누락되거나 잘못된 매핑과 순서가 뒤죽박죽 되는 것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단순한 접근성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단계로 구분하는 것이다.최초 선택.. 더보기
[WebGL] 셰이더(Shader)란 무엇인가? 셰이더가 무엇인가?셰이더(Shader)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다. 3D 장면의 렌더링 과정에서 빛, 그림자, 색상 등 시각적 효과를 계산하고 조절하여 사실적인 렌더링을 구현한다. 셰이더는 버텍스 셰이더(Vertex Shader, 위치 계산)와 프래그먼트 셰이더(Fragment Shader, 픽셀)로 나뉜다. 이를 통해 빛의 반사, 표면 질감 표현, 물결 효과 등 다양한 시각 효과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왜 셰이더가 필요한가?GPU는 CPU처럼 일반 명령어를 실행하는 구조가 아니다. WebGL은 GPU 파이프라인에 셰이더 프로그램(vertex + fragment)을 올려놓고, 데이터를 버퍼에 넣어 GPU에 전달한다. CPU는 "데이터를 GPU에 넘기고 >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지(.. 더보기
[MapLibre] Projection 변환시 발생되는 렌더링 오류 투영법은 지구의 곡면을 2차원 평면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MapLibre GL JS에는 map.setProjection() API, Style Spec을 통해서 mercator, globe 2가지 종류의 투영법을 지정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API를 통해 mercator ↔ globe 전환을 쉽게 할 수 있다.// Globe 3D 지구본map.setProjection({ type: 'globe' });// Web Mercator 투영map.setProjection({ type: 'mercator' }) 하지만 투영법 전환시에 내부 렌더링 충돌로 오류가 발생된다. 해상도 변경(줌인,줌아웃)시 주로 발생되는데, 원인은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첫째, 랜더링 파이프라인 차이로 mercator와 globe.. 더보기
다중 의도 처리 (Multi-intent Handling) 다중 의도(Multi-intent) 처리 방식순차 실행 (Sequential Execution)사용자가 한 문장 안에 여러 명령을 말해도 시스템은 이를 분리해서 차례로 실행한다.예 : 음악을 틀고 불을 꺼줘. > [명령1 : 음악 재생] > [명령2 : 조명 끄기]병렬 실행 (Parallel Execution)시스템이 동시에 여러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면 동시에 처리한다.다만, 제어나 API 호출이 얽혀 있는 경우 충돌 방지 로직이 필요하다.대화 관리(Dialog Management) 모듈의도 분류 (Intent Classification)사용자 발화를 여러 의도로 분해한다.예 : "내일 오전 9시에 회의 일정을 잡고, 거실 조명을 꺼줘."의도1 : 일정 생성의도2 : 스마트홈 제어슬롯 추출 (S.. 더보기
필수로 사용되는 React 라이브러리 React 프로젝트 시작하기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React 프로젝트를 설정하는 가장 인기 있는 도구. 빠른 빌드 속도와 간편한 TypeScript 지원 제공서버 사이드 렌더링(SSR)Next.js : React 기반 메타 프레임워크로 서버사이드 렌더링(SSR) 및 정적 사이트 생성(SSG) 지원정적 사이트 생성(SSG)Astro : 프레임워크에 구애받지 않는 정적 사이트 생성 도구. React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JavaScript를 최소화하여 성능 최적화 가능React 패키지 매니저일반적인 패키지 관리npm : Node.js 기본 패키지 매니저이자 가장 널리 사용됨성능 최적화 필요 시pnpm : 성능이 뛰어나지만 상대적으로 덜 보편적모노레포 필요 시Turborepo : Mon.. 더보기
Great-circle Distance - 대원 거리 Great-CircleGreat-Circle (대원)은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 구면과 만나서 생기는 원으로, 구면 위에서 그을 수 있는 가장 큰 원입니다. 지구에서는 적도와 모든 경선(자오선)이 대원에 해당합니다. Great-Circle Distance지구는 구형으로 평면 지도에서 보는 직선이 실제로는 최단 거리가 아닙니다. Great-circle distance는 구면(지구) 위의 두 점을 연결하는 최단 거리로 지구를 완전한 구로 가정했을 때, 두 지점을 잇는 가장 짧은 경로의 길이를 의미합니다.Great-Circle Distance 계산 방법Haversine Formula (하버사인 공식)하버사인 공식은 구면 위의 두 점의 경도와 위도를 고려하여 대원 거리를 구합니다. 짧은 거리 계산에서 수치 안.. 더보기
쿠버네티스를 처음 구성하는 방법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클라우드 사업자가 완전관리형으로 제공하는 쿠버네티스 서비스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AWS EKS (Elastic Kubernetes Service)GCP GKE (Google Kubernetes Engine)Azure AKS (Azure Kubernetes Service)Naver Cloud Kubernetes ServiceKT Cloud K8s 등컨트롤 플레인(Control plane)을 클라우드에서 자동 패치, 업그레이드, 백업을 지원하여 관리가 불필요하다. 네트워크, 스토리지, 로드밸런서 등 클라우드 리소스와 통합하기가 쉬워 운영 난이도가 낮다.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와 손쉬운 연동으로 빠른 구축, 고가용성이 보장된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종속성, 네트워크 비용 증..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