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팀에 소속된 전체선수의 연봉 총액 상한선에 대한 규정으로, NBA(National Basketball Association:미국프로농구협회)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NBA가 침체하면서 선수들의 몸값이 지나치게 상승하고 구단들이 적자로 운영되는 것을 방지하며, 돈 많은 구단이 돈을 앞세워 최고수준의 선수를 독점함으로써 팀간 실력차가 너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유명선수들은 계약자유의 원칙을 규정한 기본권 침해라고 반대하고 있다.
국내 프로농구의 경우 매 시즌마다 물가인상 등을 고려하여 총액을 바꿀 수 있으며, 후보선수들의 생계를 보장하기 위하여 최저연봉액을 정하였다. 재계약시 인상폭은 제한하지 않으나 삭감폭을 10% 이내로 한정하여 선수들의 불안감을 줄였다. 연봉총액에는 외국인 용병선수 2명의 연봉액도 포함되며 국내선수 보호를 위하여 용병의 최고연봉이 국내선수 최고연봉을 넘지 않도록 하였다.
남자프로농구는 2000∼2001년에 각팀당 10억 원, 여자프로농구는 1999년에 4억 5000만 원으로 책정되었다.
EPL에서도 샐러리 캡이 가능할까?
적용된다 그래도 그래도 뒷돈이 돌겠지?
반응형
'Legacy Stories > 라디오 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샵 단축키 (0) | 2005.12.07 |
---|---|
금연포스터 (0) | 2005.11.04 |
Long Vacation 드라마 로케 현장.. (0) | 2005.10.20 |
[펌] LGA (0) | 2005.10.11 |
2005 서울세계불꽃축제 (0) | 200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