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ushing Power 를 증가 시키기 위한 10가지 테크닉
1. 밀어내기 하는 동안에는 자세를 낮출 것.
2. 4바퀴(5바퀴) 동시에 밀어내기를 하며 동시에 Lift-off를 할 것. (No Toe-Flicking)
3. Push 는 뒤가 아닌 옆으로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마치 2시, 10시 방향으로 발을 뻗어 준다는 기분으로 Push 를 할 것.
4. 바퀴의 뒤쪽(Heel) Wheel 을 이용해서 push 해 주는 Swizzle 연습을 많이 할 것.
5. Push 하는 발의 무릎을 죽 펴 줄 것.
6. Stroke 템포를 늦추고, Glide 를 길게 할 것.
7. Recovery 시 Skate Toe 로 Semicircle (D) 를 그릴 것.
8. Set-down 시 Outside Edge 로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내려 놓을 것.
9. Push 의 끝나는 시점에서 무릎 및 Hip 이 죽 펴지는 느낌으로 펴 줄 것.
10. 약간 늦은 Set-down 으로 체중이 Fall-down 되는 것을 이용할 것.
- By Liz Miller
1.자세를 낮추세요.
-- 한쪽 다리로 밀 때에 주행하는 다리 무뤂을 90도 가까이 굽히세요. 그래야만 미는 다리를 최대한 멀리까지 길게 밀어낼 수 있고, 힘과 속도가 증가됩니다. 주행하는 발쪽은, 코와 무릎과 발끝이 일직선상에 오도록 하고 다른쪽 다리는 최대한 길게 밀어냅니다.
2.발끝으로 땅을 끌거나 치지 마세요.
-- 주행 한 동작 한 동작을 완전한 길이로 하기 위해서는, 발 뒤꿈치에 최대한 압력을 집중시킴으로써, 밀어내는 네(또는 다섯) 바퀴가 도로 바닥에 같은 힘으로 접촉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밀어내는 한 동작이 끝나기 전에 발 뒤꿈치 휠 쪽이 먼저 들리는 방식으로 주행을 한다면, 밀어내는 발의 마찰력과 미는 힘을 동시에 잃게 됩니다.
3.뒤가 아니라 옆으로 밀어내세요.
-- 옆으로 밀기가 앞쪽으로의 추진력을 만들어냅니다. (왜냐고는 묻지 마세요.)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처럼 하려면, 마음 속으로, 오른 발은 2시 방향으로, 왼발은 10시 방향으로 밀어낸다고 생각을 하세요. 옆쪽이라기보다는 더 앞쪽입니다. 그렇게 하면 결과적으로는 3시와 9시 방향의 밀어내기가 됩니다. 나에게 있어서는, 내 뒷바퀴로 커다란 팔자 수염을 그리려고 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4.'8자 돌기'를 잘 연습하세요
-- '8자 돌기 연습'(양 스케이트가 지속적으로 도로 바닥에 닿도록 하면서 8자를 그리기)은 '뒤꿈치로 밀기'와 '옆으로 밀기'가 익숙해지도록 하는 가장 좋은 한 방법입니다. 안에 있는 엄지발가락으로 조종하면서 나아갈 때에, 가장 힘을 많이 가하는 순간에, 자기 발 뒤꿈치로부터 가볍게 싹싹 문지르는 소리를 들으세요. 또 한 번 강력하게 밀기 위해서 두 스케이트를 자기 엉덩이 아래로 모을 때에, 무릎을 90도로 굽히고, 자세를 낮추세요.
5.밀 때에는 무릎을 쭉 펴세요
-- 밀어낸 발을 도로 면에서 들어올릴 때에 아직도 무릎이 굽은 채로 있다면 밀어내기가 불완전한 것입니다. 이것은 도로 면에 밀착되어 더 밀어낼 수 있는 몇 인치를 잃는다는 것을 뜻하고, 힘과 능률을 잃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6.밀어내기를 하는 박자를 늦추세요.
-- 이렇게 하고도 아직도 뭔가 모자란다면, 밀어내기가 미세하게 부족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더욱더 '밀어내기와 주행하기'에 더 집중할 때입니다. 이것을 위해서 내가 좋아하는 놀이는, 누군가의 뒤를 따라 주행을 하면서, 밀어내기 횟수를 앞사람의 반으로 줄이면서 앞사람의 속도를 따라잡으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7.공중에서 'D'자를 그리세요
--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밀기를 끝내고 스케이트를 다시 끌어당길 때에 바퀴를 지면에 가까이 유지하세요. 발 앞끝 바퀴로 옆으로 D를 그리세요. 그러면 무릎도 같은 경로를 따라서 올라올 것입니다. 스케이트를 내려놓기 위해서 앞으로 움직일 때에는, 스쳐지나갈 정도로 가깝게, 주행하는 다리 뒤로 무릎이 따라옵니다.
8.발을 내려놓는 지점을 잘 조정하세요
-- 바퀴를 주행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스케이트를 자기 약간 앞쪽으로 도로 위에 내려 놓으세요. 바퀴 날 안쪽 가장자리가 아니라 중앙 날의 정점으로 딛고 발을 내려놓습니다.(더블 푸쉬 기술은 이 방법과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면, 단번에 주행에 충분히 힘이 생길 것입니다.
9.엉덩이를 이용하여 미세요
-- 매번 밀어내기의 끝에는 밀어내는 다리를, 엉덩이와 무릎 관절까지 모두 다 완전히 펴 줌으로써, 자기의 가장 큰 근육들의 힘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십시오. 각각의 밀어내기를 끝낼 때쯤에는 엉덩이를 쭉 펴도록 노력하십시오.
10.중력을 이용하세요.
-- 중력을 효과적으로 밀어내기를 돕는 데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미끌어지기의 끝에, 주행하는 다리로 새로운 밀기를 시작하면서, 주행하는 발의 발끝-무릎-코가 일직선이 될 때, 밀고 나서 끌어당긴 스케이트를 내려놓는 것을 늦추세요. 끌어당긴 스케이트로 몸의 무게를 옮기기 시작하면서, 내리는 다리로 서기 전에, 가볍게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그 '떨어진다는 느낌'은, 몸이, 근육으로 낼 수 있는 힘보다 더 큰 힘을 내기 위하여 중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발을 바꿀 때에 몸 무게로 몸 전체에 스넵을 준다는 느낌으로 몸무게를 옮기라는 말 같습니다-바우) 이것의 연습을 위하여 각각의 착지에 시끌벅쩍한 'clomp(무거운 발자욱 소리)'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쭉, 옆으로 밀기를 확실하게 해야 합니다.
1. 밀어내기 하는 동안에는 자세를 낮출 것.
2. 4바퀴(5바퀴) 동시에 밀어내기를 하며 동시에 Lift-off를 할 것. (No Toe-Flicking)
3. Push 는 뒤가 아닌 옆으로 해야 하며, 이를 위해 마치 2시, 10시 방향으로 발을 뻗어 준다는 기분으로 Push 를 할 것.
4. 바퀴의 뒤쪽(Heel) Wheel 을 이용해서 push 해 주는 Swizzle 연습을 많이 할 것.
5. Push 하는 발의 무릎을 죽 펴 줄 것.
6. Stroke 템포를 늦추고, Glide 를 길게 할 것.
7. Recovery 시 Skate Toe 로 Semicircle (D) 를 그릴 것.
8. Set-down 시 Outside Edge 로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내려 놓을 것.
9. Push 의 끝나는 시점에서 무릎 및 Hip 이 죽 펴지는 느낌으로 펴 줄 것.
10. 약간 늦은 Set-down 으로 체중이 Fall-down 되는 것을 이용할 것.
- By Liz Miller
1.자세를 낮추세요.
-- 한쪽 다리로 밀 때에 주행하는 다리 무뤂을 90도 가까이 굽히세요. 그래야만 미는 다리를 최대한 멀리까지 길게 밀어낼 수 있고, 힘과 속도가 증가됩니다. 주행하는 발쪽은, 코와 무릎과 발끝이 일직선상에 오도록 하고 다른쪽 다리는 최대한 길게 밀어냅니다.
2.발끝으로 땅을 끌거나 치지 마세요.
-- 주행 한 동작 한 동작을 완전한 길이로 하기 위해서는, 발 뒤꿈치에 최대한 압력을 집중시킴으로써, 밀어내는 네(또는 다섯) 바퀴가 도로 바닥에 같은 힘으로 접촉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밀어내는 한 동작이 끝나기 전에 발 뒤꿈치 휠 쪽이 먼저 들리는 방식으로 주행을 한다면, 밀어내는 발의 마찰력과 미는 힘을 동시에 잃게 됩니다.
3.뒤가 아니라 옆으로 밀어내세요.
-- 옆으로 밀기가 앞쪽으로의 추진력을 만들어냅니다. (왜냐고는 묻지 마세요.) 스피드스케이팅 선수처럼 하려면, 마음 속으로, 오른 발은 2시 방향으로, 왼발은 10시 방향으로 밀어낸다고 생각을 하세요. 옆쪽이라기보다는 더 앞쪽입니다. 그렇게 하면 결과적으로는 3시와 9시 방향의 밀어내기가 됩니다. 나에게 있어서는, 내 뒷바퀴로 커다란 팔자 수염을 그리려고 하는 것 같은 느낌입니다.
4.'8자 돌기'를 잘 연습하세요
-- '8자 돌기 연습'(양 스케이트가 지속적으로 도로 바닥에 닿도록 하면서 8자를 그리기)은 '뒤꿈치로 밀기'와 '옆으로 밀기'가 익숙해지도록 하는 가장 좋은 한 방법입니다. 안에 있는 엄지발가락으로 조종하면서 나아갈 때에, 가장 힘을 많이 가하는 순간에, 자기 발 뒤꿈치로부터 가볍게 싹싹 문지르는 소리를 들으세요. 또 한 번 강력하게 밀기 위해서 두 스케이트를 자기 엉덩이 아래로 모을 때에, 무릎을 90도로 굽히고, 자세를 낮추세요.
5.밀 때에는 무릎을 쭉 펴세요
-- 밀어낸 발을 도로 면에서 들어올릴 때에 아직도 무릎이 굽은 채로 있다면 밀어내기가 불완전한 것입니다. 이것은 도로 면에 밀착되어 더 밀어낼 수 있는 몇 인치를 잃는다는 것을 뜻하고, 힘과 능률을 잃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6.밀어내기를 하는 박자를 늦추세요.
-- 이렇게 하고도 아직도 뭔가 모자란다면, 밀어내기가 미세하게 부족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더욱더 '밀어내기와 주행하기'에 더 집중할 때입니다. 이것을 위해서 내가 좋아하는 놀이는, 누군가의 뒤를 따라 주행을 하면서, 밀어내기 횟수를 앞사람의 반으로 줄이면서 앞사람의 속도를 따라잡으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7.공중에서 'D'자를 그리세요
--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밀기를 끝내고 스케이트를 다시 끌어당길 때에 바퀴를 지면에 가까이 유지하세요. 발 앞끝 바퀴로 옆으로 D를 그리세요. 그러면 무릎도 같은 경로를 따라서 올라올 것입니다. 스케이트를 내려놓기 위해서 앞으로 움직일 때에는, 스쳐지나갈 정도로 가깝게, 주행하는 다리 뒤로 무릎이 따라옵니다.
8.발을 내려놓는 지점을 잘 조정하세요
-- 바퀴를 주행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하여, 스케이트를 자기 약간 앞쪽으로 도로 위에 내려 놓으세요. 바퀴 날 안쪽 가장자리가 아니라 중앙 날의 정점으로 딛고 발을 내려놓습니다.(더블 푸쉬 기술은 이 방법과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면, 단번에 주행에 충분히 힘이 생길 것입니다.
9.엉덩이를 이용하여 미세요
-- 매번 밀어내기의 끝에는 밀어내는 다리를, 엉덩이와 무릎 관절까지 모두 다 완전히 펴 줌으로써, 자기의 가장 큰 근육들의 힘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하십시오. 각각의 밀어내기를 끝낼 때쯤에는 엉덩이를 쭉 펴도록 노력하십시오.
10.중력을 이용하세요.
-- 중력을 효과적으로 밀어내기를 돕는 데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미끌어지기의 끝에, 주행하는 다리로 새로운 밀기를 시작하면서, 주행하는 발의 발끝-무릎-코가 일직선이 될 때, 밀고 나서 끌어당긴 스케이트를 내려놓는 것을 늦추세요. 끌어당긴 스케이트로 몸의 무게를 옮기기 시작하면서, 내리는 다리로 서기 전에, 가볍게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그 '떨어진다는 느낌'은, 몸이, 근육으로 낼 수 있는 힘보다 더 큰 힘을 내기 위하여 중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발을 바꿀 때에 몸 무게로 몸 전체에 스넵을 준다는 느낌으로 몸무게를 옮기라는 말 같습니다-바우) 이것의 연습을 위하여 각각의 착지에 시끌벅쩍한 'clomp(무거운 발자욱 소리)'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쭉, 옆으로 밀기를 확실하게 해야 합니다.
반응형
'Legacy Stories > 라디오 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디아즈-로페스, '할리우드판 엽기녀' 경합 (0) | 2004.05.18 |
---|---|
포스트를 쓰시면 선물을 드립니다!! (0) | 2004.05.17 |
[강좌] 살로몬 사 더블 푸쉬 비디오(Destination Speed) (0) | 2004.05.16 |
[펌] 축구공 튀기기 (0) | 2004.05.16 |
[펌] 똑똑하게 화내기 (0) | 2004.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