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gacy Stories/라디오 스타

[강좌] 스케이팅 동작

반응형

스케이팅의 기본 동작
스케이팅은 세 가지의 기본 동작이 반복되면서 물 흐르듯이 진행됩니다.

푸쉬&글라이딩->회수->셋다운


물론 나누면 더 자세하게도 나눌 수 있지만 크게 보면 위 세 가지 동작의 반복이죠.

효과적인(스피드) 스케이팅을 위해서는 푸쉬&글라이딩 동작을 분리해야 합니다.

푸쉬->회수->셋다운->글라이딩


이런 방식이죠. 말로만 하면 어렵죠. 그림을 보면 쉽습니다.

* 푸쉬 (push) : 말 그대로 미는 동작
* 회수 (recovery) : 푸쉬 한 발을 몸 중심으로 가져오는 동작
* 셋다운 (set down) : 회수 한 발에 체중을 싫으면서 땅에 내딛는 동작
* 글라이딩 (gliding) : 셋다운 한 발에 체중을 고 앞으로 굴러 가는 동작
 
1. 3단계 기본 동작 (푸쉬 & 글라이딩 -> 회수 -> 셋다운)
푸쉬와 글라이딩이 동시에 되는 것에 주목하세요.

푸쉬와 글라이딩이 동시에 된다는 것은 두 발이 지면에 닿아있는 시간이 길다는 얘기죠.

두 발이 지면에 닿아 있는 시간이 길 수록 빨리 달리는 것과 거리가 멀어집니다.

스피드 위주의 스케이팅을 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면 저렇게 타도 아무 상관 없습니다.

그냥 편하게 타십시오. ^^;;


2. 4단계 기본 동작 (푸쉬 -> 회수 -> 셋다운 -> 글라이딩)
푸쉬하는 동안 반대편 발은 지면에 닿아있는 시간이 적습니다.

이 방법은 스피드를 내기 위한 효과적인 스케이팅 방법이죠. 두 발이 동시에 지면에 닿는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체중이동을 이용해서 앞으로 나가는 힘을 보태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3. 더블푸쉬 (레귤러푸쉬 -> 언더 푸쉬 -> 회수 -> 셋다운)
레귤러 푸쉬
더블 푸쉬가 생겨서 어쩔 수 없이 만들어진 명칭입니다. 그냥 평상 시 우리가 하는 푸쉬죠.

언더 푸쉬
말 그대로 몸 아래쪽에서(under) 민다(push) 입니다. 아웃엣지를 이용해 몸 아래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죠?
크로스 오버도 언더푸쉬 동작이 있죠.

더블푸쉬는 글라이딩 동작이 거의 없습니다.
남들 글라이딩 하는 동안에 글라이딩 할 발로 언더푸쉬 해주는 거죠. 그래서 더블푸쉬입니다.
더 빠를 수는 있지만 체력이 많이 소모되죠.

출처 : 부천 인라인 스케이트 (http://cafe.daum.net/ytn383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