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gacy Stories/라디오 스타

[본문스크랩] 코리아@홈

반응형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수많은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단일 컴퓨터로는 수행하기 어려운 대량의 정보를 분산 처리하여 결과를 얻고자 하는 프로젝트. 즉, 유휴 개인용 컴퓨터(PC) 자원을 이용하여 슈퍼컴의 성능을 구현하는 사업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I)이 추진하고 있으며, 시스템은 프로젝트 회원으로 가입한 개인의 PC에 설치되는 수행 프로그램인 에이전트와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 내에 처리하고자 하는 과학자 등의 작업 수행 요청자인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받아 단위 작업들을 에이전트가 설치된 PC에게 나누어 주고 결과를 수거하는 역할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된다. 동시에 3만여 대의 컴퓨터가 기여할 때 약 12.7TeraFlops(초당 12,700,000,000,000번의 부동소수점 연산)만큼의 성능이 기대되며, 유전학, 생화학, 천문 우주, 기상학 등 계산량이 많은 응용 연구에 적용하려고 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대표적 해외 프로젝트로서는 SETI@Home=@Home, Folding@Home, Genome@Home, Intel-Du Cancer Reaserch, FightAIDS@Home, Moneybee, Golem@Home 등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