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단어의 일반적인 뜻은 ‘명칭’을 나타내는데, 경제에서는 통화단위의 명칭 절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10환을 1원으로 변경한 일 같은 것으로, 변경 후의 호칭의 자릿수는 변경 전보다 적다.
디노미네이션은 심한 인플레이션으로 금액의 표시가 방대하여지고, 계산·기장·지불 등이 매우 불편해졌을 경우, 이 불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행하여진다. 한국에서는 1953년에 100원을 1환으로, 1961년에 10환을 1원으로 변경하였다.
디노미네이션은 통화의 가치를 절하하는 평가절하(平價切下:devaluation)와는 전혀 다르며 화폐단위로 표시되는 물가·임금·채무채권액 등의 경제제량(經濟諸量) 간의 관계는 변하지 않고 다만 모든 금액이 일률적으로 단위가 바뀌어지는데 불과하다. 따라서 다소의 심리적인 영향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는 아무런 영향도 없다.
- 장 점
· 거래편의가 제고되고 회계장부 기장(記帳)이 간편해짐
· 통화의 대외적 위상이 높아지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억제
· 지하 퇴장자금의 양성화 촉진 가능성
· 통화의 대외적 위상이 높아지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억제
· 지하 퇴장자금의 양성화 촉진 가능성
- 단점
· 새 화폐 제조와 컴퓨터시스템·자동판매기·장부 변경 등에 큰 비용 듦
· 우수리 단위 가격이 절상돼 물가를 상승시킬 가능성 있음
· 불안심리 초래 가능성
· 우수리 단위 가격이 절상돼 물가를 상승시킬 가능성 있음
· 불안심리 초래 가능성
반응형
'Legacy Stories > 라디오 스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5 서울세계불꽃축제 (0) | 2005.10.08 |
---|---|
차빼기 (0) | 2005.10.01 |
[펌] <남성과 악수할 때는 조심(?)> (0) | 2005.09.22 |
[펌] 가을을 타는 이유 (0) | 2005.09.21 |
사랑니 [wisdom tooth] (0) | 2005.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