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egacy Stories/Tech Stack

IE Hacks

반응형

표준을 구연하는데에 쓰이는 해킹, 핵을 쓰는것이 CSS 이던 XHTML 부분이던 과연 좋은것인지 안좋은 것인지는 개개인의 판단과 기준에 따라서 바뀌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아직 완벽하지 않은 표준의 태두리에서 그 태두리 안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는 부분일 수도 있겠습니다.

핵 사용의 정당성

WebGraphics는 이렇게 정의합니다

A hack is a way to fool browsers.
-핵은 브라우저들을 놀리는 방법이다. (각 브라우저가 어떤부분이 약한지를 알아서 그 부분을 꼬아서 편법을쓴다고 해석할수 있슴)
A workaround is a way to fool rendering problems, and minimize the affected browsers.
-workaround, 즉 막노동, 뺑 돌아가는 일을 사용하여 렌더링 문제를 꼬는 방법으로 영향받는 브라우저가 적게한다. (CSS 자체가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더 자세히 코딩하여 제어함으로 브라우저가 읽을시에 오해가 적도록 하게하는법. 예로 3+2=5 라고 표현하는 부분이 오해가 생길만 하다면 1+1+1+1+1=5 라고 지정해 주는것이 되겠슴)

그리고 WebGraphics 블로그에서는 3가지 과정을 통해 핵을 사용하도록 권하더군요.

  1. If we know a bug, we can sometimes prevent it - 버그를 알고 있으면 가끔은 미리 예방을 할수 있다.
  2. If it isn’t possible, we can use a workaround - 그것이 가능치 않다면 막노동이지만 더 자세히 표현하여 막는다.
  3. If we tried everything without success, we can use a hack - 이 모든것들을 해 보아도 되지 않을시에 비로소 핵을 고려해 본다.

제가 여러포스팅을 통해 CSS 핵을 소개해 드렸지만 workaround 될만한 것들도 나눌수 있었으면 좋겟네요. 참 많이 배우고 느낄만한거 같습니다. 일단 핵의 사용과 그것의 목적등을 나누고 싶었습니다.

아무튼 이번것은 workaround가 아닌 핵입니다만, 이것은 css 핵이 아닌 xhtml 핵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이 부분이 가능하도록 배려(?) 해주었네요. 기본 형식은 이러합니다.

IE 핵의 기본형식

<!--[if IE]> <link type="text/css" media="screen" href="style.css" /> <! [endif] -->

“IE 일때는 style.css 를 읽어라” 라는 뜻입니다. 아시다시피 xhtml 의 코멘트는 <!– 으로 시작합니다. 그리고 코멘트가 끝날때에는 –> 로 끝이나죠. 이 사이에 [if IE], [endif] 등을 넣어서 핵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if IE]> <style type="text/css"> #content { width: 550px;} </style> <![endif]-->

IE는 박스모델의 문제가 있으니 IE에서만 읽을수 있도록 content 라는 id 의 div 를 550px 로 설정해 준 부분입니다. 물론 이부분은 xhtml 안에 들어가는 부분입니다.

저것은 모든 IE 를 통틀어 지정해 주는 부분이고 버전에 따라서 지정을 해줄수 있습니다.

IE 버전에 따라 지정

IE 바로 다음에 버전을 넣어주면 됩니다

<!--[if IE 5.0]> <h3>THIS IS IE 5.0</h3> <![endif]-->

위의 <!–[if IE 5.0]> 부분에 IE 뒤에 5.0 이 버전을 나타냅니다. 6.0 이 될수도 있고, 5.5 도 될수 있겠네요. “THIS IS IE 5.0″ 부분은 인터넷익스플로러 5.0 에서만 보입니다.

IE 의 특정 버전만 선택하지 않기

불린Boolean 의 ! 느낌표를 써주어 부정을 넣을수 있습니다.

<!--[if !IE 5.0]> <h1>모든 브라우저에서 보이지만 ie5.0에서만 안보입니다.</h1> <![endif]-->

if IE 사이에 느낌표 ! 가 들어가서 if !IE 가 되면 뒤에나온 버전만 빼달라는 것입니다.

IE 버전들을 포괄적으로 선택하기

버전들을 포괄적으로 선택이 가능합니다. 버전 5.5 이상, 버전 6.0 이하 이런식으로 말이죠. 그리 어렵지는 않습니다.

<!--[if gte IE 5.5]> <style type="text/css"> .h2 { font-size: 1.2em;} </style> <![endif]-->

gte 라는 부분이 IE 와 버전 사이에 들어가 있습니다. if 구문 다음에 들어갔습니다. 이 gte 는 “Greater Than or Equal to” 를 줄인것으로 이상 을 뜻합니다. 즉 5.5 도 포함해서 그 이상이죠. 이 말고도 gt, lt, lte 가 있습니다.

gt greater than - 그보다 높은버전 if IE gt 5.0 은 5.0보다 높은, 5.1부터 그 이상
gte greater than or equal to-그 이상. if IE gte 5.0 은 5.0을 포함한 그 이상.
lt less than - 보다 낮은 버전. if IE lt 6.0 - 6.0보다 낮은 버전들. 5.5 5.0등
lte less than or equal to - 그 이하버전 if IE lte 5.5 - 5.5을 포함한 이하버전

버전을 직접 정하는 것보다 이렇게 포괄적으로 선택하는것이 더 나은 방법일겁니다. 특히 3px 버그나 박스모델 버그는 <!–[if lte IE 5.5]> 를 써 주어 5.5 이하버전들을 선택해 주면 되겠네요.

표준을 위한 핵. 그것은 편법입니다. 편법을 많은곳에서 사용은할수 있지만 권장하는 방법은 아닙니다. 하실수 있다면 그 문제를 돌아서 가더래도 핵이아닌 방법으로 해결하시면 좋겠습니다. padding 보다는 margin 의 사용을 늘린다던지 하는 방법이 그리합니다. 또한 그것이 안될경우 사용해 볼수 잇는 여러 workaround를 곧 나눌수 있으면 좋겠네요.

IE conditional comment hack 참고:
http://www.quirksmode.org/css/condcom.html
http://virtuelvis.com/archives/2004/02/css-ie-only
CSS hacks and filters

반응형